회원학회

회원학회

번호 연구제목 연구자 연구기간 발표실적
내용
599 청심연자탕으로 호전된 태음인 전정신경염 환자 치험 1례 이수빈1ㆍ김성태2,* 20221231 ~ 학회지
본 증례는 주소증인 어지럼에 대해서 최대한 한약 단독의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여 견항통에 대해서만 침, 약침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견항통 아시 침치료가 어지러움의 경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증례이며 자연 경과와의 비교가 없어 추후 한약 단독 치료의 연구, 증례의 누적과 더욱 높은 수준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598 체질성정요법의 이론적 근거에 대한 고찰 이준희 20220930 ~ 학회지
1. 性情修養法 또는 體質性情療法은 太少陰陽人의 性深着과 情暴發을 예방 및 관리하는 요법이다.

2. 性深着과 情暴發은 각각 능하지 못한 天機와 人事의 하위 영역에서 타고난 哀怒喜樂의 性과 情을 부적절하게 발생시키는 것이며, 그 선행원인은 心慾이다.

3. 性深着과 情暴發은 太少陰陽人 각각의 偏小한 肺脾肝腎 四黨의 耳目鼻口의 天機를 廣博하는 힘과 肺脾肝腎의 人事를 練達하는 힘을 약화시켜 溫熱凉寒 四氣의 처리 과정에 장애를 초래하여 體質病證을 발생시킨다.

4. 太少陰陽人은 天機를 인식하고 人事를 행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心慾을 경계하여 知行의 능력이 발휘되도록 해야 하고, 이를 통해 각각 天機와 人事에서의 不能함을 극복하여 性深着과 情暴發을 예방해야 한다.
597 太陰人 麻黃定喘湯의 기원, 변천과정 및 구성 원리 안순형1ㆍ오현주2ㆍ신승원3ㆍ이의주4,* 20220930 ~ 학회지
1. ????萬病回春????과 ????東醫寶鑑????에 수록된 哮吼症을 치료하는 定喘湯을 太陰人의 偏小之臟인 肺胃脘을 補益하며 동시에 解表하는 효능이 있다고 평가하여 太陰人 哮喘證 처방의 基源으로 삼았다고 볼 수 있다.
2. 定喘湯에서 化痰平喘하는 약물인 半夏, 蘇子와 약재의 조화를 위해 들어간 甘草는 脾胃에 작용하는 약물로 보아 太陰人 병증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肺胃脘에 작용하며 太陰人 背顀表病에 더 적합한 약물인 桔梗과 麥門冬, 蘿葍子로 대체하게 되었다.
3. ????甲午本????에서 太陰人 麻黃定喘湯은 麻黃發表湯을 바탕으로 定喘湯의 구성을 빌려와 麻黃發表湯과 葛根解肌湯의 중간병리를 치료하는 처방으로 설정되었다.
4. ????辛丑本????에서는 太陰人 胃脘受寒表寒病의 병리가 확립되며 麻黃發表湯을 바탕으로 背顀表病 哮喘病證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설정되어 현재까지 응용되고 있다.
5. 麻黃定喘湯은 1) 肺에 작용하여 呼散之氣를 직, 간접적으로 돕는 桔梗과 麥門冬, 黃芩과 2) 肺黨의 氣液 순환을 돕는 麻黃, 3) 胃脘의 上升之力을 돕는 杏仁과 白果, 4) 小腸의 疏導之力을 돕는 蘿葍子, 5) 化痰止咳平喘의 목적으로 활용된 桑白皮와 款冬花로 구성되었다.
596 콘볼루션 신경망 기반의 안면영상을 이용한 사상체질 분류 안일구1ㆍ김상혁2ㆍ정경식3ㆍ김호석3ㆍ이시우2,* 20220930 ~ 학회지
본 연구는 체질확진자 3,738명의 안면사진만으로 태음인, 소음인, 소양인의 세 체질에 대하여 각 체질과 나머지 체질을 분류하여 안면사진만으로 체질 진단 가능성을 실험해보았으며 얼굴 영상만으로 체질을 분류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태음인과 비태음인의 분류, 소음인과 비소음인의 분류, 소양인과 비소양인의 분류 성능은 각각 79.94%, 86.05%, 73.22%로 딥러닝 알고리즘이 다른 체질과 구별되는 특징을 추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는 각 체질의 분류성능을 더 높일 수 있는 특징을 안면사진에서 찾는 것뿐 아니라 BMI나 성격설문 등의 추가 데이터를 통해 분류성능을 높이는 연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