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학회

회원학회

번호 연구제목 연구자 연구기간 발표실적
내용
3 일본에서 補中益氣湯에 대한 최신 연구와 임상 응-2003년에서 2008년까지 학술논문 분석-용 동향 박주연, 이효승, 박선 2007-03-01 ~ 학회지
의학은 그 방법이 어떠한 것이든 대상은 질병을 갖고 있는 사람, 즉 환자이며, 환자의 질병을 치료하고 그 사람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향상시켜주는데 최우선의 목표가 있다. 이런 관점에서 의학은 필수적으로 과학적인 근거에 의거해야하고, 이는 한의학에서도 보강해야할 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한의학계에서도 근거중심의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의학적 진단, 한약 및 침술 등도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서 기준을 잡고 사용에 대한 근거를 찾으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補中益氣湯은 金元시대 四大醫家 중 한명인 李杲(李東垣)의 저서인 脾胃論과 內外傷辨惑論에서 등장한 처방으로 임상에서 가장 다용되는 처방 중에 하나이다. 李杲는 脾胃가 人體元氣의 本이고 精氣升降運動의 樞紐라고 논했으며, 脾胃의 氣機升降方面에 있어서 특별히 강조한 것이 脾胃의 生長和升發이다. 「素問․五常政大論」에 말하기를 ‘陰精所奉其人壽, 陽精所降其人夭’라고 했는데, 여기서 ‘陰精所奉’이라는 것은 脾胃가 和하여 穀氣가 上昇하여 春夏에 行하게 하여 其人壽할 수 있는 것이고, ‘陽精 所降’이라는 것은 脾胃가 不和하여 穀氣가 下流收藏하는 것이니 其人夭한다고 한 것이다. 「脾胃論․卷上」을 보면, 이런 이유로 脾胃가 虛衰하여 元氣가 부족하고 淸陽이 下陷하면 病이 된다. 本方의 補中益氣는 升陽擧陷하므로 명명하기를 補中益氣湯이라 하였다1).
補中益氣湯은 黃芪一錢 炙甘草五分 人蔘三分 當歸身二分 橘皮 升麻 柴胡各二分或三分 白朮三分으로 구성되어 있고, 脾胃의 氣虛로 인한 身熱有汗, 頭痛惡寒, 渴喜溫飮, 少氣懶言, 體倦肢軟, 顔色蒼白, 大便稀溏하며, 脈象이 洪而虛하고, 舌質은 淡, 舌苔는 薄白한 증상을 치료한다. 임상적으로는 신체허약으로 인한 眩暈, 頭痛耳鳴, 耳聾, 視朦, 背惡風寒 및 慢性氣管支炎, 子宮脫垂, 脫肛, 習慣性流産, 崩漏, 白帶 등에 응용되고 있다. 方解를 살펴보면, 黃芪를 君藥으로 補中益氣하고 升陽固表하여 止汗하게 하며, 人蔘 炙甘草 白朮을 臣藥으로 하여 益氣健脾하고 君藥과 相合되어 益氣補中하며, 佐藥에는 理氣和胃시키는 陳皮와 養血하는 當歸를 사용하였고, 使藥으로는 소량의 升麻 柴胡로 君藥을 협조하면서 下陷된 陽氣를 昇提케 하였다(Fig. 1)2).

Fig. 1. Explanation of prescription, Bojungikki-Tang.

본 연구에서는 補中益氣湯에 대한 일본의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일본에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補中益氣湯을 주제로 발표된 논문 52편을 분석해서 補中益氣湯의 효능에 대한 실험 연구 결과와 임상 증례를 살펴보았다.
2 EBM 기반 구축을 위한 오적산 연구 논문 분석 이남헌, 하혜경, 이호 2007-03-01 ~ 학회지
최근 의학계에 근거중심의학(EBM : Evidence- based medicine)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한의학계에도 기존의 다빈도 처방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하는 노력이 시작되고 있다. 그에 따라 한약 및 침술 등 한의학 치료수단에 대한 기존 문헌 연구, 임상연구를 통해 사용 근거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전 한의학 문헌에 의존하여 처방되고 있는 투여 한약의 효능 근거를 밝히는 연구의 기초로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한방 처방 중 하나인 五積散에 대한 연구 논문을 분석을 하고자 한다. 오적산은 1107년 전후 陳師文 등이 修訂 발간한 太平惠民和劑局方 傷寒門에 처음으로 수록된 處方으로1)蒼朮, 2錢, 麻黃, 陳皮 각 1錢, 厚朴, 桔梗, 枳殼, 當歸, 乾薑, 白芍藥, 白茯笭 각 1錢, 川芎, 白芷, 半夏, 桂皮 각 7分, 甘草 6分, 生薑 3片, 蔥白 3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治感傷風寒 頭身痛 四肢逆冷胸腹作統 嘔瀉 或 傷冷生食에 적응되는 처방이다2). 국민건강보험 급여 한약제제 56종중에 가장 활용 빈도가 높은 처방으로 2001년부터 2003년까지 건강보험 EDI 청구분 기준 약제비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3). 따라서 한방의료보험에서 매우 중요한 처방으로 이에 대한 복약지도 EBM이 필요하여 이에 대한 기존 연구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1 이성대상포진으로 인한 구안와사 환자 1례 - 서양의학적 치료에 호전이 적은 환자를 중심으로 강래엽, 김현진, 한효 2002-01-06 ~ 학회지
이성대상포진은 Ramsay-Hunt 증후군, 귀띠헤르페스(Herpes zoste oticus)라고도 불리며, 대상포진과 동일한 원인균인 Herpes zoster군에 속하는 Varicella zoster virus에 의해 안면신경의 geniculate ganglion에 염증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이개 및 외이도의 동통, 포진,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의 3가지 주요한 증상과 더불어 난청, 이명, 현훈 및 삼차신경통 등 다양한 증후군을 동반하는 특이한 급성질환이다1).
또한, 드물게 얼굴 신경 이외에도 삼차신경(trigeminal nerve)과 속귀신경(vestibulocochlear nerve), Ⅸ, Ⅹ, ⅩⅠ, ⅩⅡ 뇌신경 등에 장애를 주어 청력장애, 이명, 어지럼 및 쉰소리 등의 다양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2).
증상이 발현된 후에 치료 시작 시기가 빠를수록 신경학적 이상 징후의 회복에 좋은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신속하게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며2), 치료로는 항바이러스 제재인 acyclovir와 steroid를 투여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고 신경학적 이상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신경 부종을 줄여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성대상포진은 통증과 피부의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대상포진과 달리 여러 가지 비전형적인 신경 증상을 동반하여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대상포진보다 드물게 발생하지만 일단 발병하면 훨씬 심한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의 원인으로는 본 질환 외에도 급·만성 중이염과 같은 감염성질환이나 Melkersson\'s syndrome, Bell\'s Palsy와 같은 비감염성질환이 보고되고 있는데, Bell\'s Palsy는 말초성 마비의 하나로 경유돌공(Stylomastoid foramen)에서 안면신경이 비화농성으로 감염되어 급성적으로 발병한 원인 미상의 특발성 마비이며, 한랭노출, 감정적 불안, 충격 등도 유발요인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반해 이성대상포진은 Bell\'s Palsy 다음으로 말초성 안면신경 마비증을 많이 유발하여 신경이 완전 변성될 위험이 높은 질환이다3).
한의학적인 관점에서 이성대상포진은 口眼喎斜, 纏腰火丹, 痘瘡 등의 범주로 볼 수 있으며, 한약투여, 침치료, 약침치료, 전침치료, infra-red therapy, massage, 물리요법 등이 유효하다는 보고들이 있다4-7).
口眼喎斜는 안면신경마비와 유사한 질환으로 명대 이후 《醫學綱目ㆍ口眼喎斜》에서부터는 단순 口眼喎斜를 非中風으로 구분하기 시작했으며, 현대의학에서 중추성 안면신경 마비와 말초성 안면신경 마비로 구분되는 것과 유사하다. 그 원인은 精氣不足의 바탕위에 風寒의 外邪侵犯으로 발병된다고 하였으며8), 아직 서양의학처럼 상세한 분류는 되어 있지는 않다.
纏腰火丹은 隋代 《諸病源候論》부터 그 증상에 대한 서술이 있고, 肝火內熾, 脾肺濕熱, 氣血凝滯 등의 원인으로 발병하나, 발병부위가 胸脇部에 국한된 관계로 頭面部에 발생하는 본 질환에 동일하게 적용되기는 어려우며, 주증상인 耳痛과 疱疹은 風熱 및 濕熱의 범주에서 고려될 수 있다5).
최근 이성대상포진에 대해서는, 조 등9), 장 등10), 김 등11) 및 염 등1)의 증례보고, 정 등12)의 효과적인 치료방법에 대한 보고, 김 등13), 신 등14) 및 추 등3)의 예후인자에 대한 분석 등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한의학적으로는 염 등1)의 증례보고 및 김 등15)의 한양방협진 치료에 대한 보고, 최 등5)의 변증치료에 대한 보고 등이 있으나 서양의학적 치료로 耳後疱疹은 소실되었으나 口眼喎斜에 대한 초기치료가 잘 되지 않아 한방으로 전원한 난치성 이성대상포진으로 인한 口眼喎斜에 대한 치험 예가 드물다.
이에 저자는 발병 후 2개월간의 지속적인 서양의학적 치료에 호전이 적은, 이성대상포진으로 인한 口眼喎斜 1례에 대하여 加味理氣祛風散 투여 및 침치료로 유효한 효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