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학회

회원학회

번호 연구제목 연구자 연구기간 발표실적
내용
12 人蔘 saponin 腸內 Glc-PPT 및 PPT가 免疫系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김대한, 송호준, 정종 2003-01-01 ~ 학회지
腸內 微生物에 의해 代謝된 saponin 系列 Glc-PPD 및 steroid 系列 活性物質 PPT의 豫測되는 藥理活性 중에서 免疫反應 調節效果를 T細胞 및 大食細胞에서 調査한 結果를 다음과 같이 要約하였다.

1. Glc-PPD는 T細胞의 細胞活性物質 IFN-g 및 IL-10 分泌를 有意하게 抑制시키지 못 하였으나 PPT는 濃度 依存的으로 有意하게 抑制시켰다.

2. steroid 系列 PPT의 IFN-g 및 IL-10 抑制效果는 合成 steroid DEX와 機能面에서 類似하지만 抑制效果의 細胞內 信號經路는 DEX와 區別된다.

3. Glc-PPD는 大食細胞의 細胞毒性 效果分子인 NO의 生成을 有意하게 抑制시키지 못 하였으나 PPT는 濃度 依存的으로 有意하게 抑制시켰다.

4. PPT에 의한 NO의 生成 抑制效果는 PPT에 의한 iNOS 發顯 抑制效果와 關係가 있었다.

5. Glc-PPD는 大食細胞의 炎症誘導 物質인 PGE2의 生成을 有意하게 抑制시키지 못 하였으나 PPT는 濃度 依存的으로 有意하게 抑制시켰다.

6. PPT에 의한 PGE2 生成 抑制效果는 PPT에 의한 COX-2의 發顯 抑制效果와 關係가 있었다.
7. 化學構造 및 機能面에서 PPT는 DEX와 類似한 點이 있었으나 NO 및 PGE2의生成 抑制效果의 機轉은 DEX와 區別된다.

以上의 硏究 結果로부터 PPT는 T細胞 및 大食細胞 媒介 過多 免疫反應에 의해 發病되는 炎症疾患에 效果가 있을 것으로 期待되며 앞으로 有用한 藥物로 開發되기 위해서는 PPT의 細胞內 藥理作用 機轉에 대하여 究明되어져야 할 것으로 思料된다.
11 Ovalbumin으로 유발시킨 喘息에 대한 黃芩의 물 추출물의 효과 황대룡, 이성철, 신호 2003-01-01 ~ 학회지
마우스에 Ovalbumin을 처리하여 알레르기 염증반응인 천식을 유발시키고 黃芩을 경구투여한 후 기관지폐포세척액내에 존재하는 총세포수 및 호산구세포의 수적변화, 혈청내의 면역글로블린 항체 그리고 비장세포 및 폐조직내의 세포활성물질 생성변화를 측정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기관지폐포세척액내에 존재하는 총 세포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黃芩의 물 추출물 1000㎎/㎏ 투여군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2. 기관지폐포세척액내에 존재하는 호산구세포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黃芩의 물 추출물 300, 1000㎎/㎏ 투여 군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3. 혈청내의 IgE 항체는 대조군에 비하여 黃芩의 물 추출물 300, 1000㎎/㎏ 투여 군에서만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4. 혈청내의 IgG1 및 IgG2a 항체는 대조군에 비하여 黃芩의 물 추출물 투여 군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는 없었다.

5. 폐조직 및 비장세포의 세포활성물질인 IL-4는 대조군에 비해서 黃芩의 물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변화는 없었다.
6. 폐조직 및 비장세포의 세포활성물질인 IL-5에서는 대조군에 비해서 黃芩의 물 추출물 300, 1000㎎/㎏ 투여 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黃芩의 물 추출물 투여가 Ovalbumin으로 유도한 알레르기성 염증반응인 喘息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10 형방지황탕 유래의 Klebsiella pneumonia 항균활성물질 정종효, 서은희, 박석 2003-01-01 ~ 학회지
Klebsiella pneumoniae(K. pneumoniae)는 호흡기 계통 감염증의 원인균으로 면역력이 약해진 어린이나 노약자 또는 수술환자들에게 폐렴, 창상감염, 축농증, 중이염, 균혈증 등 중증 감염을 일으키는 기회 감염균이다. 본 연구에서는 형방지황탕을 재료로 축농증과 비염환자에게서 분리 동정한 K. pneumoniae에 대한 새로운 항균물질을 연구하였다.

1.형방지황탕 한약 재료 한제를 넣고 약탕기로 달인 후 1ℓ로 감압․농축한 후 분리 정제하여, 정제한 물질의 항균력과 그 물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2. 형방지황탕으로부터 분리된 K. pneumoniae에 대한 항균물질 HJT-4는 형방지황탕 조성 단일 약재 유래의 물질이 아닌 제 3의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3.형방지황탕 내의 항생물질의 pH 안정성 정도를 판단해 본 결과 pH7과 pH10에서는 안정하였고, pH3에서는 항균활성이 40%정도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항생물질의 분리를 위하여 형방지황탕 탕액 추출한 결과 활성물질은 ethyl acetate층에서 잘 추출됨이 관찰되었고, 색소흡착을 위해 활성탄을 처리하였을 때, 항생물질은 활성탄에 흡착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5.추출된 활성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분리한 후 HPLC로 정제하여 항균활성물질 HJT-4를 얻었다.

6.MIC의 측정결과 K. pneumoniae에 대한 분리 항균활성물질 HJT-4의 MIC 값은 0.0131㎍/150㎕(82% inhibition)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형방지황탕의 탕액으로부터 분리․정제한 물질이 K. pneumoniae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형방지황탕의 치료범위를 중이염이나 비염뿐 아니라 폐렴 등의 중증 호흡기 감염 질환에도 확대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형방지황탕에서 분리․정제한 물질은 K. pneumoniae의 감염 치료나 알레르기성 염증치료 등에도 좋은 활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으므로 앞으로 내성여부와 항균 범위 확대 등의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여 임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9 紫雲膏와 Gentamicin 倂用이 創傷治癒 및 創傷感染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김수경․최해윤& 2003-01-01 ~ 학회지
창상치유 효능이 있는 紫雲膏와 피부의 2차 감염에 효력을 나타내는 gentamicin 병용 시 피부 창상치유 및 창상감염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창상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S. aureus, S. pyogenes, P. aeruginosa에 대한 MIC를 관찰하고, 인위적인 창상 유발 후 S. aureus, S. pyogenes, P. aeruginosa를 접종한 ICR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창상 치유 촉진 및 창상감염 방지 효과를 평가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IC, MIC50 및 MIC90의 측정결과, 紫雲膏 자체는 S. aureus, S. pyogenes 및 P. aeruginosa에 대해 별 다른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gentamicin과 紫雲膏의 병용 처리군에서는 처리한 紫雲膏의 용량 의존성으로 S. aureus, S. pyogenes 및 P. aeruginosa에 대해 매우 강한 항균력이 관찰되었고, gentamicin 단독 차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항균력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2. S. aureus, S. pyogenes 및 P. aeruginosa를 감염시킨 마우스 모델에서 紫雲膏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창상면적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gentamicin 처리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창상면적의 변화가 초래되었다. 한편 gentamicin과 紫雲膏의 병용 처리군에서는 처리한 紫雲膏의 용량 의존성으로 모든 창상감염 모델에서 유의성 있는 창상면적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3. 창상면적이 반으로 감소된 데까지 걸린 기간인 CT50의 경우, 紫雲膏 처리군에서는 용량 의존성으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된 반면, gentamicin 처리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CT50을 나타내었다. 한편 gentamicin과 紫雲膏의 병용 처리군에서는 처리한 紫雲膏의 용량 의존성으로 모든 창상감염 모델에서 유의성 있는 CT50의 감소가 관찰되었고, 일부에서는 동일한 量의 紫雲膏 단독 처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감소가 인정되었다.
4. 총백혈구 수 및 백혈구 분별계산의 경우, 紫雲膏 처리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백혈구 및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임파구 및 단핵구의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gentamicin과 紫雲膏의 병용 처리군에서는 처리한 紫雲膏의 용량 의존성으로 모든 창상감염 모델에서 유의성 있는 총 백혈구수의 감소 및 호중구, 단핵구의 수적 감소와 임파구의 상대적 증가가 관찰되었고, 일부에서는 gentamicin 단독 처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감소 또는 증가가 인정되었다.

5. S. aureus, S. pyogenes 및 P. aeruginosa를 감염시킨 마우스 모델에서 생균수의 경우, 紫雲膏 처리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생균수를 나타내었으나 gentamicin과 紫雲膏의 병용 처리군에서는 처리한 紫雲膏의 용량 의존성으로 모든 창상감염 모델에서 유의성 있는 생균수의 감소가 관찰되었고, 일부에서는 gentamicin 단독 처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