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학회

회원학회

번호 연구제목 연구자 연구기간 발표실적
내용
20 건조누에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인공자실체 형성 이준우, 방광웅, 서부 2003-01-01 ~ 학회지
건조누에를 이용하여 Paecilomyces japonica (눈꽃동충하초)를 인공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건조누에의 주령에 따른 영향은 5령3일의 누에가 Paecilomyces japonica (눈꽃동충하초)의 자실체 발생 및 생장이 가장 잘 일어났으며 건조누에를 배지로 사용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 물을 첨가하는 것보다 누에를 하루정도 물에 침적시킨 다음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 이었으며 배지에 따른 균사 배양조건에서는 배지 입자가 작은 현미와 보리쌀의 경우 균사 활착을 위해서는 10~12일 정도 소요 되었다.

2. 자실체 전체 중량에 대한 자실체의 중량비는 누에 번데기에서 27.6% 가장 높았다.

3. Paecilomyces japonica (눈꽃동충하초) 재배시 사용하는 PP병의 선택은 반투명의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4. 광조건은 200LUX의 조도에서 Paecilomyces japonica (눈꽃동충하초)의 자실체 형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19 Akebia 속과 Aristolochia 속의 Pyrosequencing에 의한 감별 서정철, 서부일, 한상 2003-01-01 ~ 학회지
There are several types of DNA sequence variation, including single base pair difference -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 differences in the copy number of repeatedsequences, and insertions and deletions. The first is the most frequent. Characterization and scoring of genetic variations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correlate phenotype and genotype differences. We hav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typing single-base variations Akebia and Aristolochiaspecies in DNA by using a recently developed sequencing technique, called Pyrosequencing.
To determine if Akebia and Aristolochia species could be identified by Pyrosequencing method, we performed a Pyrosequencing analysis of a Akebia quinata Decaisne and a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cultivated in Herbal Garden of Kyunghee University, Korea. The Pyrosequencing results of Akebia and Aristolochia species showed different patterns. The Pyrosequencing analysis of Akebia quinata Decaisne was very different compared with that of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Figure 1 shows in Akebia quinata Decaisne the peak of the second A nucleotide base was same height with next C nucleotide base. Figure 2 shows in case of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the peak was absent in the second A nucleotide base and the peak of next C nucleotide bas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 nucleotide base.
We designed Akebia and Aristolochia species specific sequencing primer to identify Akebia quinata Decaisne and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In above primer Akebia quinata Decaisne has A nucleotide base, but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has C nucleotide base. From these results we verified that our Akebia and Aristolochia species -specific sequencing primers were well designed.

Figure 1. Pyrosequencing of Akebia quinata Decaisne.
The peak of the second A nucleotide base was same height with next C nucleotide base.

Figure 2. Pyrosequencing of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The peak was absent in the second A nucleotide base and the peak of next C nucleotide bas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 nucleotide base.

At present, Pyrosequencing is performed in an automated microtiter-based Pyrosequencer instrument, which allows simultaneous analysis of samples within 15 minutes. Each round of nucleotide dispensing takes approximately 1 minute and thus offers a rapid way to determine the exact sequence of the genetic variations,
Zhu examined the classical Chinese herbal literatures and revealed that until the mid 17th century the original source plants of Mu Tong had been several Akebia species.12) From the 17th century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Clematis species were the main source of Mu Tong. Zhu reported that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has only been widely used since the 1950s. Thus some plant sourc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might have changed over time. In these case genetic identification of traditional Chinese herbs should help to ensure the safe use of Chinese herbs especially in case the plant has toxicity. So, the method for identifying the origin is very import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yrosequencing methods are suitable for authentication of the concerned Akebia and Aristolochia species. This work shows that typing of genetic variations can efficiently be performed by Pyrosequencing by using an automated system for pattern recognition software. In conclusion, Pyrosequencing analyses might be able to identify the Akebia and Aristolochia species. Now Pyrosequencing analyses might be able to provide the identification of Akebia and Aristolochia species.
18 산삼과 장뇌삼 중 고려삼과 서양삼의 Pyrosequencing법에 의한 감별 권기록, 서정철 2003-01-01 ~ 학회지
1. 경험을 바탕으로 한 육안적 관찰에 의한 산삼의 감별법은 천종산삼과 장뇌삼, 그리고 중국삼과 서양삼을 감별하는데 객관적인 지표가 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2. 현재 유통되는 많은 천종산삼과 수령이 오래된 장뇌삼 중 상당수의 서양삼이 국내산으로 유통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3. 본 연구방법인 인삼의 종간 특이성 시퀀싱 프라이머를 이용한 Pyrosequencing 분석방법은 고려삼과 서양삼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채택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본 연구 방법은 정확한 산삼, 장뇌삼 원료를 공급하고 품질관리 방법으로 활용 할 수 있으며, 기타 한약재 자원에 대한 품종간 감별에 대한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17 內疎黃連湯 및 구성약물의 항균활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천승철, 지선영, 이상 2003-01-01 ~ 학회지
內疎黃連湯과 구성약물의 항균효과에 대해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內疎黃連湯과 黃連, 大黃, 赤芍藥, 梔子, 檳榔, 黃芩, 甘草는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2. 內疎黃連湯과 黃連, 連翹, 大黃, 赤芍藥, 梔子, 檳榔, 黃芩, 甘草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3. 內疎黃連湯과 大黃, 赤芍藥, 黃連, 黃芩, 甘草는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4. 黃連은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나, 內疎黃連湯 및 다른 약재에서는 항균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5. 內疎黃連湯과 모든 약재에서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內疎黃連湯 및 그 구성약물은 Streptococcus mutan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가 있음이 실험적으로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