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연구제목 | 연구자 | 연구기간 | 발표실적 |
---|---|---|---|---|
내용 | ||||
260 | 정량화뇌파(QEEG)의 이해와 활용 | 임정화 | 2024-11-03 ~ | 학술대회 |
2024 전국한의학학술대회 영남권역(session 2)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정량화뇌파의 개념, 정량화 뇌파의 해석방법, 임상활용방안, 연구 등에 대해 소개 |
||||
259 | 생기능자기조절훈련의 이해와 활용 | 김락형 | 2024-11-03 ~ | 학술대회 |
2024 전국한의학학술대회 영남권역(session 2)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뇌파생기능자기조절훈련의 역사와 임상적용, 임상례 등에 대해 소개 |
||||
258 | 뇌파검사시연 | 김윤나 | 2024-11-03 ~ | 학술대회 |
2024 전국한의학학술대회 영남권역(session 2)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뇌파검사의 시행법과 다양한 뇌파검사장비 및 임상활용에 대해 소개 |
||||
257 | 한국의 높은 자살률, 그리고 한의사의 역할 공청회 | 권찬영, 서효원, 김동수, 장재순 등 | 2024-09-07 ~ |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한의약혁신기술개발사업 중 근거합성 과제 <자살행동에 대한 한의치료기술 근거합성 연구>(연구책임자 권찬영) 결과를 바탕으로 공청회 개최하여 연구성과 발표 및 자살예방을 위한 한의사의 역할 및 향후 정책방향에 대해 논의 -한의원에서의 자살 위험 환자와 한의사의 역할 권찬영 교수 -임상진료지침을 기반으로 한 자살 예방에서의 한의사의 역할 서효원 연구원 -한의돌봄사업과 자살예방 김동수 교수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자살예방 생명이음청진기사업:참여 한의원 사례 장재순 원장 패널토의 및 질의응답: 국가 자살 예방 정책에서 한의사 인력의 역할 |